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전당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 전당
국내 산업 발전에 기여한 우수 브랜드 선정/시상
대한민국의 대표 싱크탱크’ 산업정책연구원(IPS)은 지난 한 해 동안 각 산업별로 소비자들에게 가장 사랑 받은 브랜드를 공모, 선정해 ‘2025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전당(9th Korea Brand Hall of Fame)’을 발표합니다.
치열한 경쟁에서 브랜드 가치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건 역시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고 신뢰하는 브랜드일 것입니다.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전당은 우리 소비자들에게 가장 사랑 받은 제품과 서비스를 선정해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소비자들에게는 더욱 합리적인 선택을 돕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행사 개요
- 시 상 명 : ‘2025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전당(9th Korea Brand Hall of Fame)’
- 행사일정 : 2025년 1월 중
- 주최 및 후원 : 산업정책연구원(IPS), 산업통상자원부,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동아일보
진행일정
구분 | 주요일정 | 일시 | 주요내용 |
1 | 응모 공고 | 2024. 11. 04. (월) | 동아일보 사고 |
2 | 응모 접수 | 2024. 11. 04. (월) ~ 2025. 01. 10. (금) | 후보 브랜드 선정 (응모 신청 및 공적서 접수) |
3 | 전문가 심사 | 2025. 01. 13. (월) |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최종 심사 |
4 | 최종결과 공지 | 2025. 01. 14. (화) | 각 수상사별 전화 및 이메일로 안내 |
5 | 수상식 | 2025년 1월 중 | 동아일보 특집기사 및 수상 광고 게재 |
* 상기 일정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연속 수상 기업(기관)은 사전 지원 및 심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시상부문
소비재 | 일반식품 |
음료/주류/유제품 | |
생활용품 | |
패션잡화 | |
기타 소비재 | |
내구재 | 가전제품 |
정보통신 | |
자동차 | |
건설 | |
기타 내구제 | |
서비스 | 도·소매 |
금융 | |
통신/인터넷 | |
서비스 일반 | |
콘텐츠 | |
기타 서비스 | |
공공행정 / 지자체 | |
산업경쟁력 | |
대중문화 | |
공로상 |
* 복수 부문에 신청 가능 (세부적인 브랜드나 상품으로 신청 가능)
* 상기 부문 외에 해당되는 경우 별도심사를 거쳐 추가될 수 있음
공통 평가항목
구분 | 세부평가기준 | 배점 |
경영실적평가 (300점) | 매출·영업이익 | 100점 |
시장 내 판매량 (시장점유율) | 100점 | |
유사/경쟁 브랜드 대비 경쟁우위 평가 | 100점 | |
브랜드 가치 평가 (300점) | 전략적 가치 (비전, 전략목표, CEO 방침) | 100점 |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파워 및 충성도) | 100점 | |
브랜드 관리 (품질 관리 및 사후 서비스 등) | 100점 | |
고객 만족 평가 (200점) | 고객만족관리(CRM) 체계 | 100점 |
소비자 만족도 (신뢰도) 조사 | 100점 |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평가 (200점) | 광고·마케팅 전략 | 100점 |
대외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활용 평가 | 100점 |
공적서 작성 및 응모안내
응모 방법(제출 서류) | · 최종심의신청서 1부 · 공적요약서 1부 ·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
공적서 작성방법 |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와 연계해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해 작성 · 부족한 부분에 한해 회사소개서로 일부 대체 가능 |
수상 기업(기관) 특전사항 | · 동아일보 연합 광고 · 동아일보 특집기사 섹션 발행 · 대회 엠블럼을 마케팅-광고홍보에 1년간 독점적 활용 · 브랜드 자산가치 평가 및 브랜드전문가과정 교육 진행 시 우선 혜택 제공 |
신청 및 문의
산업정책연구원(IPS)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전당’ 운영본부
Tel. 02-333-9142 / E-mail: shlee@ips.or.kr, awards@ips.or.kr / Fax: 02-333-9143
역대 수상기업 및 단체
2025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 전당 수상 기업 및 단체

국가산업대상
‘2025 국가산업대상(8th National Industry Awards)’은 대내외적인 불확실성과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경쟁 환경 속에서도 우수한 경영 능력과 차별화된 제품(서비스)로 경쟁력을 제고해 국가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기업/기관/브랜드를 선정, 치하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본 포상은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제공하는 기업/기관/브랜드를 선발해 격려하고, 각 산업 부문간 균형 잡힌 성장을 통해 경제의 선순환을 유도, 선진 경제의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행사 개요
- 시 상 명 : 2025 국가산업대상 (8th National Industry Awards)
- 행사일정 : 2025. 4월 중
- 주최 및 후원 : 산업정책연구원(IPS),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동아일보
진행일정
구분 | 주요일정 | 일시 | 주요내용 |
1 | 후보군 선정 | 2024. 12. 16.(월) ~ 2025. 01. 17.(금) |
(조사 대상)한국산업표준분류에 의거해, 국내외에서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기업/기관/브랜드 (조사 방법) 대한상공회의소, 국내 기업현황정보시스템 동아일보 데이터베이스 활용 |
2 | 행사 공고 | 2025. 01. 20.(월) | 동아일보 알림기사 게재 |
3 | 응모 신청 | 2025. 01. 21.(화) ~ 04. 04.(금) |
최종심의신청서 및 공적요약서 접수 |
4 | 최종 심사 | 2025. 04. 07.(월) | 학계, 산업계의 전문가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에서 공통 평가항목 500점, 부문별 평가항목 300점 등 총 800점 만점 기준 평가(* 산업 브랜드/공공 분야의 경우 공통 평가항목 500점으로 평가) |
5 | 선정 통보 | 2025. 04. 08.(화) | 최종심의회 통과 기업(기관)에 한해 확정 및 통지 신청 기업/기관의 상황에 따라 사전심의/통보 가능 |
6 | 수상식 | 2025. 4월 중 | 동아일보 특집기사 및 수상 광고 게재 |
* 상기 일정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응모 부문
- 산업 브랜드 분야
금융 | 통신 | 유통 | 정유-에너지 | 택배-운송 | 건설-인테리어 | 가전 |
모빌리티-산업재 | 교육 | 의료-뷰티-헬스케어 | 식품-소비재 | 생활 서비스 | 여행-레저 | 공공 |
- 산업 경쟁력 분야
1) OPERATION | ||
경영혁신 | 글로벌 | 고객만족 |
인재육성 | 브랜드전략 | 서비스혁신 |
2) ESG | ||
지속가능 | 동반성장 | 사회공헌 |
윤리/인권경영 | 안전경영 | 환경경영 |
고용친화 | 조직문화 |
3) TECHNOLOGY | ||
기술혁신 | 제조품질 | 생산관리 |
연구개발 | IT 디지털 | 정보보안 |
시상 부문은 일부 조정될 수 있으며, 해당 부문이 없을 경우 수여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함.
* 세부 부문의 경우 지원 기업/기관 및 심사위원단과 협의 후 지정
공통 평가항목
구분 | 세부 평가 기준 | 배점 |
공통 평가(500점) | CEO 리더십의 비전과 종합적 운영 성과 | 각 100점 |
객관적 기관에 의한 인증/수상내역 | ||
지속 혁신을 위한 대내외 환경 조성 | ||
주력 제품(서비스)의 산업-사회적 가치 | ||
대내외 이해관계자들과의 철학 공유 활동 |
* 산업 경쟁력 분야의 경우 부문별 평가 추가 진행
산업 브랜드/공공 분야의 경우 공통 평가항목 500점으로만 진행
공적서 작성 및 응모안내
공적서 내용 | · 기업/기관/브랜드의 운영 성과 - 중-장기 경쟁력 강화 비전 - 기업/기관/브랜드의 산업-사회적 가치 - 기업/기관/브랜드의 운영 실적(성과) · 기업/기관/브랜드의 경영 전략과 방침 · 기업/기관/브랜드의 장기적 발전방안 ※ 평가항목에 해당하는 평가지표에 연계해 기술 ※ 상기 공적서는 기업(기관)소개서, 연혁, 특허 등 인증내역, 수상내역, 사회공헌활동 경력 등으로 대체 가능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와 연계해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작성 |
제출 서류 | · 최종심의신청서 1부 · 공적요약서 1부 (기업/기관/브랜드 소개서 대체 가능) ·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 기타 증빙자료 (해당사항이 있을 경우에 한해) |
신청 및 문의
산업정책연구원(IPS) ‘국가산업대상’ 운영본부
Tel. 02-333-9142 / E-mail: shlee@ips.or.kr, awards@ips.or.kr / Fax: 02-333-9143
역대 수상기업 및 단체
2025 국가산업대상 수상 기업 및 단체, 수상자

한국경영대상
‘2025 한국경영대상 (9th Korea Management Awards)’은 대내외적인 불확실성과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경쟁 환경 속에서도 탁월한 경영 능력과 창조적이고 차별화된 경영 마인드로 기업/기관의 경쟁력을 제고해 국가 산업/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한 최고경영인(CEO)과 조직(기업/기관)를 선정, 치하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2017년부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경영인을 선정해온 ‘대한민국 CEO 명예의전당’이 확대, 개편되어 국내외 경영 이니셔티브를 선도하는 CEO와 기업/기관을 선정하는 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공정하고 엄격한 심사 과정을 통해 각 부문별 우수 CEO와 기업/기관을 선정, 발표함으로써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경영 표상으로 삼고자 합니다. 우수 경영인들의 차별화된 경영 철학과 리더십, 그리고 우수한 기업/기관의 탁월한 전략을 폭넓게 공유할 수 있는 이번 기회를 통해, 우리 산업/경제의 펀더멘털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시키는 데에도 일조하고자 합니다.

행사 개요
- 시 상 명 : 2025 한국경영대상 (9th Korea Management Awards)
- 행사일정 : 2025년 9월 중 예정
- 주최 및 후원 : 산업정책연구원(IPS),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동아일보, 서울과학종합대학원(aSSIST)
진행일정
구분 | 주요일정 | 일시 | 주요내용 |
1 | 후보군 선정 | 025. 06. 16.(월) ~ 07. 03.(목) | 조사대상 : 한국산업표준분류에 의거해, 국내외에서 생산적 활동을 하는 모든 기업/기관 및 대표자 조사방법 : 대한상공회의소, 국내 기업현황정보시스템, 동아일보 데이터베이스 활용 |
2 | 행사 공고 | 2025. 07. 04.(금) | 동아일보 알림기사 게재 |
3 | 응모 신청 | 2025. 07. 07.(월) ~ 09. 12.(금) | 응모신청서 및 공적서 접수 |
4 | 최종 심사 | 2025. 09. 15.(월) | 학계, 산업계의 전문가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에서 공통 평가항목 700점, 부문별 평가항목 300점 등 총 1,000점 만점 기준 평가 (공공 분야는 700점 공통 평가 항목으로 평가) |
5 | 선정 통보 | 2025. 09. 16.(화) | 최종심의회를 통과한 CEO 및 기업/기관에 한해 확정 및 통지 |
6 | 수상식 개최 | 2025년 9월 중 예정 | 동아일보 특집기사 및 연합 수상공고 게재 |
* 상기 일정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시상 부문
- CEO 분야
경영혁신 | 글로벌 | 고객만족 | 브랜드전략 | 서비스혁신 |
인재육성 | 교육혁신 | 지속가능 | 동반성장 | 사회공헌 |
윤리인권경영 | 환경경영 | 안전경영 | 기술혁신 | 제조품질 |
생산관리 | 연구개발 | 정보보안 | AI경영 | IT디지털 |
- 기업/기관 분야
경영혁신 | 글로벌 | 고객만족 | 브랜드전략 | 서비스혁신 |
인재육성 | 교육혁신 | 지속가능 | 동반성장 | 사회공헌 |
윤리인권경영 | 환경경영 | 안전경영 | 기술혁신 | 제조품질 |
생산관리 | 연구개발 | 정보보안 | AI경영 | IT디지털 |
- 공공 분야
* 세부 부문의 경우 별도 안내 예정
공통 평가항목
구분 | 세부평가기준 | 배점 |
공통평가 (700점) | CEO 리더십의 비전과 전략 | 100점 |
경영 비전에 의거한 종합적 운영 성과 | 100점 | |
객관적 기관에 의한 인증/수상내역 | 100점 | |
지속적인 혁신을 위한 대내외 환경 조성 | 100점 | |
대내외 이해관계자들과의 철학 공유 활동 | 100점 | |
주력 제품(서비스)의 산업-사회적 가치 | 100점 | |
지역 사회와의 상생 노력 | 100점 |
공적서 작성 및 응모안내
공적서 내용 | · CEO 및 기업/기관의 운영 성과 - 경쟁력 강화 비전, 조직의 산업-사회적 가치, 경영 실적 · 세부적인 경영 전략과 방침 · CEO 및 기업/기관의 장기적 비전 및 발전방안 ※ 평가항목에 해당하는 평가지표에 연계해 기술 ※ 해당 공적서는 기업/기관 소개서, 연혁, 특허 등 인증내역, 수상내역, 사회공헌활동 경력 등으로 대체 가능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와 연계해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작성 |
제출 서류 | · 최종심의 신청서 1부 (이메일 접수) ·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 공적서 1부 (* 별도 양식 제출 가능) |
신청 및 문의
산업정책연구원(IPS) ‘한국경영대상’ 운영본부
Tel. 02-333-9142 / E-mail: shlee@ips.or.kr, awards@ips.or.kr / Fax: 02-333-9143
역대 수상기업 및 단체
2024년 수상기업

국가산업대상
‘2025 국가산업대상(8th National Industry Awards)’은 대내외적인 불확실성과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경쟁 환경 속에서도 우수한 경영 능력과 차별화된 제품(서비스)로 경쟁력을 제고해 국가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기업/기관/브랜드를 선정, 치하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본 포상은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제공하는 기업/기관/브랜드를 선발해 격려하고, 각 산업 부문간 균형 잡힌 성장을 통해 경제의 선순환을 유도, 선진 경제의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행사 개요
- 시 상 명 : 2025 국가산업대상 (8th National Industry Awards)
- 행사일정 : 2025. 4월 중
- 주최 및 후원 : 산업정책연구원(IPS),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동아일보
진행일정
구분 | 주요일정 | 일시 | 주요내용 |
1 | 후보군 선정 | 2024. 12. 16.(월) ~ 2025. 01. 17.(금) |
(조사 대상)한국산업표준분류에 의거해, 국내외에서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기업/기관/브랜드 (조사 방법) 대한상공회의소, 국내 기업현황정보시스템 동아일보 데이터베이스 활용 |
2 | 행사 공고 | 2025. 01. 20.(월) | 동아일보 알림기사 게재 |
3 | 응모 신청 | 2025. 01. 21.(화) ~ 04. 04.(금) |
최종심의신청서 및 공적요약서 접수 |
4 | 최종 심사 | 2025. 04. 07.(월) | 학계, 산업계의 전문가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에서 공통 평가항목 500점, 부문별 평가항목 300점 등 총 800점 만점 기준 평가(* 산업 브랜드/공공 분야의 경우 공통 평가항목 500점으로 평가) |
5 | 선정 통보 | 2025. 04. 08.(화) | 최종심의회 통과 기업(기관)에 한해 확정 및 통지 신청 기업/기관의 상황에 따라 사전심의/통보 가능 |
6 | 수상식 | 2025. 4월 중 | 동아일보 특집기사 및 수상 광고 게재 |
* 상기 일정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응모 부문
- 산업 브랜드 분야
금융 | 통신 | 유통 | 정유-에너지 | 택배-운송 | 건설-인테리어 | 가전 |
모빌리티-산업재 | 교육 | 의료-뷰티-헬스케어 | 식품-소비재 | 생활 서비스 | 여행-레저 | 공공 |
- 산업 경쟁력 분야
1) OPERATION | ||
경영혁신 | 글로벌 | 고객만족 |
인재육성 | 브랜드전략 | 서비스혁신 |
2) ESG | ||
지속가능 | 동반성장 | 사회공헌 |
윤리/인권경영 | 안전경영 | 환경경영 |
고용친화 | 조직문화 |
3) TECHNOLOGY | ||
기술혁신 | 제조품질 | 생산관리 |
연구개발 | IT 디지털 | 정보보안 |
시상 부문은 일부 조정될 수 있으며, 해당 부문이 없을 경우 수여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함.
* 세부 부문의 경우 지원 기업/기관 및 심사위원단과 협의 후 지정
공통 평가항목
구분 | 세부 평가 기준 | 배점 |
공통 평가(500점) | CEO 리더십의 비전과 종합적 운영 성과 | 각 100점 |
객관적 기관에 의한 인증/수상내역 | ||
지속 혁신을 위한 대내외 환경 조성 | ||
주력 제품(서비스)의 산업-사회적 가치 | ||
대내외 이해관계자들과의 철학 공유 활동 |
* 산업 경쟁력 분야의 경우 부문별 평가 추가 진행
산업 브랜드/공공 분야의 경우 공통 평가항목 500점으로만 진행
공적서 작성 및 응모안내
공적서 내용 | · 기업/기관/브랜드의 운영 성과 - 중-장기 경쟁력 강화 비전 - 기업/기관/브랜드의 산업-사회적 가치 - 기업/기관/브랜드의 운영 실적(성과) · 기업/기관/브랜드의 경영 전략과 방침 · 기업/기관/브랜드의 장기적 발전방안 ※ 평가항목에 해당하는 평가지표에 연계해 기술 ※ 상기 공적서는 기업(기관)소개서, 연혁, 특허 등 인증내역, 수상내역, 사회공헌활동 경력 등으로 대체 가능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와 연계해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작성 |
제출 서류 | · 최종심의신청서 1부 · 공적요약서 1부 (기업/기관/브랜드 소개서 대체 가능) ·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 기타 증빙자료 (해당사항이 있을 경우에 한해) |
신청 및 문의
산업정책연구원(IPS) ‘국가산업대상’ 운영본부
Tel. 02-333-9142 / E-mail: shlee@ips.or.kr, awards@ips.or.kr / Fax: 02-333-9143
역대 수상기업 및 단체
2025 국가산업대상 수상 기업 및 단체, 수상자

국가서비스대상
대한민국의 대표 싱크탱크’ 산업정책연구원(IPS)은 각 산업별로 소비자들에게 사랑 받은 서비스 기업 / 기관을 공모, 선정해 이들을 격려하는 ‘2025 국가서비스대상 (8TH National Service Awards)’을 개최합니다.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그 서비스의 가치가 제대로 평가 받고 우수한 서비스를 주목하는 건 역시 소비자들이 많이 선택하고 신뢰한 기업 / 기관들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통해 우리 경제는 한 단계 더 큰 도약이 가능합니다.
이번에 개최되는 ‘2025 국가서비스대상’은 소비자들에게 사랑 받는 서비스로 평가 받아, 추후 국내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기업 / 기관들의 방향을 제시하고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선택을 돕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행사 개요
- 시 상 명 : 2025 국가서비스대상 (8TH National Service Awards)
- 행사일정 : 2025년 6월 중 진행 예정
- 주최 및 후원 : 산업정책연구원(IPS),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동아일보
진행일정
구분 | 주요일정 | 일시 | 주요내용 |
1 | 후보군 선정 | 2025. 03. 04(화) ~ 03. 24.(월) | (조사대상)한국산업표준분류에 의거해, 국내외에서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기업 / 기관의 서비스 (조사방법) 대한상공회의소, 국내 기업현황정보시스템 동아일보 데이터베이스 활용 |
2 | 행사 공고 | 2025. 03. 25.(화) | 행사 공고문 게재 |
3 | 응모 신청 | 2025. 03. 26.(수) ~ 06. 13.(금) | 응모신청서 및 공적요약서 접수 |
4 | 최종 심사 | 2025. 06. 16.(월) | 학계, 산업계의 전문가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에서 서비스가치 평가 400점, 고객만족도 평가 200점,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평가 200점 등 총 800점 만점 기준 평가 |
5 | 선정 통보 | 2025. 06. 17.(화) | 최종심의회 통과 기업(기관)에 한해 확정 및 통지 |
6 | 시상식 개최 | 2025년 6월말 진행 예정 | 동아일보 특집기사 및 연합 수상공고 게재 |
* 상기 일정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시상 부문
일반 | 유통-도/소매 |
금융 | |
통신/인터넷 | |
생활 일반 | |
의료 | |
교육 | |
지식-정보 | |
콘텐츠 | |
문화-레저 | |
산업경쟁력 |
* 복수 부문에 신청 가능 (세부적인 브랜드나 서비스로 신청 가능)
* 상기 부문 외에 해당되는 경우 별도심사를 거쳐 추가될 수 있음
공통 평가항목
구분 | 세부 평가 기준 | 배점 |
서비스가치 평가 (400점) | 전략적 가치 (비전,전략목표) | 각 100점 |
서비스 인지도 (브랜드 파워 및 충성도) | ||
서비스 관리 (품질 관리 및 사후 서비스 등) | ||
유사/경쟁 서비스 대비 경쟁우위 평가 | ||
고객만족 평가 (200점) | 고객만족관리(CRM) 체계 | |
소비자 만족도 / 신뢰도 조사 | ||
마케팅 - 커뮤니케이션 평가 (200점) | 광고-마케팅 전략 운영 | |
대외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활용 평가 |
* 부문별 세부 평가항목은 담당자에게 문의
공적서 작성 및 응모안내
공적서 내용 | · 기업/기관의 서비스 운영 성과 - 중-장기 경쟁력 강화 비전 - 서비스의 산업-사회적 가치 - 서비스의 운영 실적(성과) · 기업/기관의 서비스 경영 전략과 방침 · 해당 서비스의 장기적 발전방안 ※ 평가항목에 해당하는 평가지표에 연계해 기술 ※ 상기 공적서는 기업(기관)소개서, 연혁, 특허 등 인증내역, 수상내역, 사회공헌활동 경력 등으로 대체 가능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와 연계해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작성 |
응모 신청기간 | 2025. 03. 26.(수) ~ 06. 13.(금) |
제출 서류 | · 최종심의신청서 1부 (이메일 ) ·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 공적요약서 1부 (기업/기관/서비스 소개서 추가) · 기타 증빙자료 (해당사항이 있을 경우에 한해) |
신청 및 문의
산업정책연구원(IPS) ‘국가서비스대상’ 운영본부
Tel. 02-333-9142 / E-mail: shlee@ips.or.kr, awards@ips.or.kr / Fax: 02-333-9143
역대 수상 및 기업 단체
2025 국가서비스대상 수상 기업 및 단체, 수상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