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esting,
Pioneering and Satisfying

 뉴스레터

제목 연구보고: 국가 브랜드 맵 작성 연구
발간일 2007-08-31 첨부파일

산업정책연구원(IPS)은 산업자원부와 KOTRA의 의뢰를 받아 ‘국가 브랜드 맵 작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주력산업 관련 맵의 작성을 통한 수출 증대전략 수립 및 국가 브랜드 관리의 기초자료를 작성하였다.  

연구목적
브랜드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점차 국가 역시 ‘브랜드’로 인식하고 기업 브랜드와 같이 관리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강력한 국가 브랜드 이미지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브랜드 수출을 활성화한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세계 자본을 유치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자금의 이동여부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우리 수출 제품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올리고 우리 무역의 질적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가 브랜드 및 이미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기업의 브랜드와 마찬가지로 국가 브랜드와 이미지도 전략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별, 산업별 한국 국가 브랜드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출 기업들의 해외 진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조사 설계를 진행하여 국가별, 산업별 경쟁국가 대비 한국의 국가 브랜드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기업들의 수출 마케팅 및 정부의 수출 진흥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연구 개요
2005년 기준으로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출량과 수출 증가율, 그리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정한 6대 전략산업(자동차, IT/전자/기계 플랜트, 패션, 의료, 바이오, 문화)을 고려, 최종적으로 7개 산업(자동차, 휴대폰, 가전, 의류, IT/반도체, 문화컨텐츠, 철강)을 선정하여, 각 지역 및 국가별로 한국의 국가 브랜드 이미지는 물론 한국의 7대 산업에 대한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국가 브랜드 맵’을 작성하였다.
따라서 2005년 기준 수출규모 상위 20위권 국가와 BRICS 국가를 포함하여 아시아, 유럽, 미주, 오세아니아 대륙의 21개국(대만, 독일, 러시아, 말레이시아, 멕시코, 미국, 베트남, 브라질, 싱가포르, 영국, 이탈리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캐나다, 태국, 프랑스, 필리핀, 호주, 홍콩)의 4~5대 도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 70세 성인남녀 2,809명을 대상으로 한국과 한국의 주력 7대 산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한국의 국가 브랜드 이미지 평가
한국의 국가 브랜드 이미지는 역동적인 이미지와 함께 전문성, 첨단기술 관련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를 지역별로 세분화하면 아시아와 유럽 지역에서는 ‘역동적이다’,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미지가 강하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 미주 지역에서는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전문성이 있다’는 이미지가 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주력 7대 산업 평가
자동차, 휴대폰, 정보기술(IT) 및 반도체, 의류, 가전, 철강 등 7개 주력산업에 대해 21개국에서 평가한 결과 휴대폰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휴대폰 산업 다음으로는 IT 및 반도체, 가전 산업이 각각 2, 3위를 차지하였고, 철강, 문화, 자동차, 의류산업 순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산업의 경우 품질 및 신뢰성 측면에서는 경쟁국인 핀란드 및 일본 휴대폰이, 제품가격 및 디자인, 브랜드의 독창성 및 차별성 측면에서는 한국 휴대폰이 다소 앞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주력산업에 대한 평가는 국가별로 평가 결과가 약간 다르게 나타났는데, 한국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한국의 철강이나 정보기술 및 반도체 산업을 높게 평가한 반면, 낮은 국가일수록 가전과 휴대폰을 높게 평가했다. 지역별로는 한류의 영향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문화산업에 대한 평가가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결론 및 시사점
이번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한국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는 높으나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출 주력상품도 아직까지 선진국에 비해 중저가 제품 이미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을 제대로 알리고 선호도를 높이는 작업과 국가별, 산업별 이미지 특성을 고려한 해외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매년 이와 같은 국가 브랜드 현황 조사를 실시해 국내 주요 전략 산업의 이미지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할 것이다.

 강민정 연구원 (mjkang@ips.or.kr)